2008-02-22
WOW Warden as Spyware
Exploiting Online Games에 와우의 보안 프로그램인 Warden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나와 있다.
-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듯하다. (스크립트일지도?)
- 15초에 한번씩 사용자의 컴퓨터를 검색한다.
- 와우 클라이언트의 주소 공간에 로딩된 모든 DLL 의 정보를 읽어들인다. (ToolHelp API)
- 모든 윈도우 타이틀의 텍스트를 GetWindowTextA 로 읽어들인 다음, 해싱을 거쳐서 미리 등록된 금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비교한다.
- 모든 프로세스의 코드 영역(0x004* 이나 0x0041*)의 10-20바이트를 읽어서, 역시 해싱을 거쳐 미리 등록된 금지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비교한다.
이 책의 저자는, 윈도우 타이틀에 SSN이나 카드 번호, URL, 이메일 등의 개인 정보가 블리자드로 빠져나갈 수 있고, 또한 내가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기밀 정보가 유출될 수 있기에, Warden이 안티해킹툴이라기 보다는 스파이웨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 명의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저자의 주장에 수긍이 가지만, 이런 저런 해킹에 시달리는 게임 개발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통계 기반의 해킹 체크도 한번 도입해보면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도 솟아오른다. 우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