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2

Cloud Computing For Online Game

Cloud Computing?

때는 바야흐로 2003년, 게임 서버 개발은 조만간 그리드 컴퓨팅 기반으로 바뀔 거라고 믿고 아마존에서 관련 서적을 실컷 사 모았던 적이 있다. 막상 뚜껑을 열어 보니 대부분 웹서비스 기반이어서 뭔가 빠른 반응성과 연결된 세션간의 적절한 동기화가 필요한 게임 서버, 특히 MMORPG에는 맞지 않아 보였다. 결국 그 책들은 거의 읽혀지지도 않은 채 집에 방치되있고, 그리드를 주력으로 파겠다던 배짱좋은 예측 포스팅은 부끄러워서 내려 버렸다.

http://bks0.books.google.com/books?id=8-0BofIhoU0C&printsec=frontcover&img=1&zoom=1&sig=ACfU3U2fcOHmSfNIjZtVjM-Gm5LZAw9dVg http://bks0.books.google.com/books?id=2e73K_jXdfcC&printsec=frontcover&img=1&zoom=1&sig=ACfU3U35K6wElPYG2wUE8zEBQ-QU0AgPfA http://bks0.books.google.com/books?id=b4LWXLRBRLsC&printsec=frontcover&img=1&zoom=1&sig=ACfU3U2FVscbkXMEdwtUQBeERDYIxVqmzg

안보는 깨끗한 원서 팝니다 ㅠㅠ

그리고나서 대략 4-5년 정도가 흘렀다. 지금은 많은 웹스타트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극 활용하고 있고, 어느새 나도 gmail 과 google docs 를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도 아마존과 구글의 뒤를 이어서 아쭈르(Azure)라는 걸 선보이고 있고, (아마도 실버라이트랑 연계되지 않을까?) 최근에는 "사례로 읽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책도 사뒀는데, 버스에서 자느라 읽을 새가 없다. OTL

사례로 읽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례로 읽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목 그대로니까 속으면 곤란하다.

몇 주 전 Kay 님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게임 서버 퍼블리싱 사업(예전에 블레이스 서버 호스팅 비스므리한)은 어떻겠냐고 물으셨다. (이거 밝혀도 문제 없겠죠? ㅋㅋ) 그때 클라우드들이 HTTP의 느린 응답성이나 동기화가 왜 어려운가..라든지, 구글 앱 엔진이 스케줄링 같은 걸 지원하지 않는 것에 대해 한참 이야기를 했었다. 최근에 이런 저런 이야기를 많이 줏어들으며 곰곰히 생각해보니, 어떻게든 분산을 희생해서 적당히 요청을 한 곳에 몰아주는 정책만 허용해준다면 어떻게 될 법도 해 보였다. 그래도 MMORPG 서버 호스팅은 아직까지는 힘들고, 웹 게임들, 보드 게임들이나 시뮬레이션 게임들의 서버라든지, XBOX Live 나 Steamworks 같은 인증+커뮤니티+배포+리더보드+매치메이킹 정도의 활용 가능성은 충분해 보인다. (그러고 보니 스팀도 자기들이 클라우드라고 주장하고 있다)

Store data in Steam Cloud for your users. The Steam Cloud API allows your game to write and retrieve files for each user. Use it for personalized settings like keyboard, mouse, and gamepad configurations, multiplayer sprays, or even saved games. Steam Cloud is a natural extension of the portability that Steam affords gamers. Shipped with Left 4 Dead, Steam Cloud is now a proven resource and is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Steam experience.

앱스토어의 흥행으로 삼성이나 NHN 같은 국내 회사들이 비슷한 걸 만들고 있단다. 퍼블리셔들도 이제는 정신차리고 괜히 50-100억 주고 비싼 게임 들여왔다가 돈 날리지 말고, 잡쉐어링을 위해서라도 개인이나 중소 게임사들이 손쉽게 퍼블리싱할 수 있게 이런 쪽으로 분발해주길 바란다. 구글앱엔진, 엑박라이브, 스팀, 앱스토어의 장점을 하나로 합치는 웹 기반의 게임 플랫폼 SDK 라도 좀 뿌려주면 얼마나 좋을까. 기본적으로 무료 트래픽, 수익은 1:9, 컨텐트는 루아, P2P는 기본, 웹용 무료 3D엔진 제공, 게임 동영상이나 커뮤니티는 다음이나 네이버 블로그/까페 연동, 스샷은 flickr, 실시간 방송은 아프리카, 간편하고 손쉬운 in-game 결제 시스템과 자동화된 상점, 신뢰할만한 보안 모듈(nprotect 말고), 플래시도 지원, 이슈 관리 시스템 및 소스 버전 관리도 제공, ... 뭐 적다 보니 끝이 없구나. ㅋㅋ

ps. 마지막 문단을 쓰고 나서 주위를 둘러보니 한숨만 나오는군하.


comments powered by Disqus